비모수적 검정2 가설검정 - 두 변수 간의 가설 검정 두 변수 간의 가설검정할 때 어떤 검정법을 취해야 하는가? 범주형,수치형, 각각의 독립변수 종속변수 케이스에 따른 검정법의 선택 범주형X와 수치형Y의 검정에서 정규성,등분산성,집단수에 따라 선택하는 적절한 검정법 JMP에서 기능찾기 2022. 3. 31. 모수적 검정과 비모수적 검정의 차이 모수검정 - 평균에 대한 검정. 비대칭분포나 비정규분포 검정에 적합 집단의 산포/분산이 다른 경우 적합.그러므로 비대칭, 비정규 분포에 적합 집단의 산포가 다를경우 등분산가정 선택취소해서 분석하면 됨 통계적 검정력이 큼 모수적 통계의 전제조건 - 모집단의 정규분포, 집단내 동일 분산, 변수가 등간 or 비율척도로 측정되어야 함 평균이 자료들을 대표하는 값일 때만 의미있으므로 정규분포성을 따지는 것임 그렇지 않은 자료는(EX 소득,이상치 등 ) 중위수 검정 즉 비모수적 검정이 나을 수 있음 모평균과 표본평균 차이 검정 - z.t 표본 평균 간의 차이 - z.t 모분산, 표본분산 간의 차이 - F, 카이 표본 분산 간의 차이 - F, 카이제곱 (카이제곱은 기대빈도와 관찰빈도/범주 차이 검정할 때도 사용. 단.. 2022. 3. 18. 이전 1 다음